'생활의 발견'에 해당되는 글 80건
- 2017.02.13 :: 홍길동은 실제 연산군시대에 폭정에 항거하였다.
- 2017.02.01 :: 조선시대 외과적 치료법으로 종기치료의 1인자가 된 백광현
- 2017.01.24 :: 설의 변천사
- 2017.01.18 :: 예전부터 우리민족과 친숙한 도깨비
- 2017.01.12 :: 신라 최고의 정복군주"진흥왕"
- 2017.01.02 :: 2017년 붉은 닭의 해
- 2016.12.26 :: 80년대 팝의 아이콘 조지마이클 하늘나라로
- 2016.12.23 :: 일출/일몰 명소
조선시대 3대 도적은 홍길동,임꺽정,장길산 입니다.
그중에 요즈음 MBC 월화드라마"역적: 백성을 훔친 도적"에 나오는
홍길동은 실존인물입니다.
드라마와 같이 연산군 시절에 충청도 일대를 중심으로 활동한 농민무장대의
지도자였습니다.
그 당시 양반지주층들에 의해 토지소유가 늘고 그로인해 착취에 시달리던
농민들이 산 속으로 들어가 양반지주들이나 관청을 습격하여 살아가는
농민무장대가 전국 곳곳에서 일어났으며 그 중 대표적인 농민무장대가
홍길동의 농민무장대였습니다.
홍길동은 관리의 복장을 하고 스스로 '첨지'라 하고 많은 무장농민들을 이끌
고 마을의 관청이나 양반지주들을 습격하였습니다.
그러나 결국 체포되어 의금부에서 취조당한 기록이 남아있습니다.
조선왕조실록에는 1500년 음력10월22일 영의정,좌의정,우의정이 강도 홍길
동을 잡았으니 기쁨을 이길수 없습니다는 기록이 있으며
음력10월28일에는 의금부에서 홍길동에게 접대를 받고 그에게 집까지 주선
해준 엄귀손의 처벌을 건의해 왔다는 내용이 있는 것으로 보아
반역이나 강상(綱常)의 죄를 저지른 중죄인을 왕명에 따라 조사.처벌하는 의
금부에서 홍길동사건을 담당하였고 홍길동과 엄귀손이 결탁하여 활동했다
는 것을 알수 있다.
또한 그 이후 기록에도 홍길동이 첨지(중추부의 정3품 관리)를 사칭하여 관
청에 드나들면서 가탄없는 행동을 했고 이를 방조한 관리들을 징계해한다는
건의가 있었다고 기록한 것을 보아 충청도를 중심으로 큰 세력을 떨쳤다는 것을 알수 있다.
그리하여 1500년~1501년 두 해의 걸쳐 의금부의 수사가 이루어졌고
많은 사람들이 그와 관련해 처벌을 받았다고 합니다.
홍길동의 신분이나 행적은 자세한 기록이 없어 전해지지 않고
추정컨대 의금부에서 조사를 받는과정에 생을 마감했을 것이라고 추정됩니
다.
그후 한글의 최초소설인 허균의 홍길동전의 모태가 되었습니다.
또한 조선중기에 활동한 임꺽정도 홍길동을 본 떠 당상관의 복장을하고 관
부에 출몰하였다고 합니다.
'생활의 발견 > TV드라마/영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연산군이 사랑했던 여자 장녹수 (0) | 2017.02.20 |
---|---|
조선의 아름다움을 표현한 3대 화가 (2) | 2017.02.17 |
조선시대 외과적 치료법으로 종기치료의 1인자가 된 백광현 (0) | 2017.02.01 |
신라 최고의 정복군주"진흥왕" (0) | 2017.01.12 |
추억의 만화영화 원탁의 기사 (0) | 2016.12.12 |
MBC에서 허준과 대장금을 연출한 이병훈 감독이 세번째로 만든 2012년 10월부터 방영되었던 "마의"는 이병훈감독의 전작인 "허준"처럼 사극의학드라마라고 할수 있었습니다.
"마의"의 주인공으로 나오는 백광현은 실존인물로써
허준보다도 더 드라마틱한 삶을 사신 분입니다.
백광현에 대한 자료는 많지 않아서 자세한 인생역정은 알 수 없으나
본관은 임천(林川)이고 자는 숙미(淑微)입니다.
그리고 정확한 생몰년도는 없습니다.
침술은 어떻게 익혔는지 모르나 독학으로 처음에는 말의 병을 치료하는 마의로 출발하였고 그러다가 사람의 종기도 침으로 째서 치료를 해보았는데
완치가 되는 환자가 많아지면서 명성을 쌓았고 사람들로부터 신의(神醫)라고도 불렸다.
그래서 시험을 치지는 안았으나 뛰어난 종기치료술로 현종때 치종(治腫)교수로 내의원에 들어가게 됩니다.
그후 현종의 목이 난 종기와 효종의 비 인선왕후의 발제종창(髮際腫瘡),
숙종의 목구멍종기와 배꼽종기등을 치료하여
1670년 어의까지 오르게 됩니다.
그후 강령현감,포천현감을 거쳐 지중추부사,숭록대부에 까지 오르게 됩니다.
백광현은 우리나라에서 피부를 째서 치료하는 외과적 치료법을 처음
시작한 인물로써 그 의의를 둘수 있다고 볼수 있습니다.
'생활의 발견 > TV드라마/영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조선의 아름다움을 표현한 3대 화가 (2) | 2017.02.17 |
---|---|
홍길동은 실제 연산군시대에 폭정에 항거하였다. (0) | 2017.02.13 |
신라 최고의 정복군주"진흥왕" (0) | 2017.01.12 |
추억의 만화영화 원탁의 기사 (0) | 2016.12.12 |
화랑이 돌아왔다. (0) | 2016.12.12 |
설의 다른 이름은 원단(元旦),원정(元正),원일(元日),원조(元朝),원신(元新),
세수(歲首),정조(正朝),세초(歲初),연시(年始),연두(年頭),신일(愼日),
달도(怛忉),연수(年首),구정(舊正) 등이 있습니다.
설은 7세기 중국의 역사서에도 나타나고 있는 것으로 보아 설의 기원은
아주 오래된 우리 민족의 고유 명절이라고 봐야 할 것입니다.
현재의 설은 일제강점기를 거치면서 우리 민족의 고난의 역사와 함께
하였습니다.
얼마전까지 우리나라에는 양력설(신정)과 음력설(구정)로 두 개의 설이 있었습니다.
현재 달력의 기준인 태양력이 1896년(고종32년)에 들어왔어도 전통적인 설날은 계속되었지만 일제강점기부터 일본의 우리나라의 전통문화말살정책에 따라 설 명절 시기에는 방앗간을 폐쇄하고 설날때 되면 새옷을 입는 어린이들에게 먹칠하는 등 고유명절인 설을 못하도록 억압하였습니다.
대신 일본명절인 천장절(天長節),명치절(明治節),기원절(紀元節) 등을 국경일로 정해 우리나라 사람들을 참가시켰습니다.
그래서 일점강점기에는 일본인들의 방식대로 양력 설을 강요당했습니다.
그런 이유로 광복후에도 신정과 구정을 명절로 생각하게 되었습니다.
그래서 국가에서는 두번의 설을 하는 것은 국가적 낭비로 생각하여
외국과의 무역을 중시하던 산업화시대에는신정을 쇠도록 권장하였습니다.
오랫동안 설날은 공휴일과 비공휴일로 왔다갔다하다 1985년 "민속의 날"로 지정되어 하루 정식 공휴일이 되었습니다.
그후 1989년부터 70~80년만에 음력으로 정월초하루부터 3일 연휴의"설날"이란 정식명칭을 쓰게 되었습니다.
신정은 3일간연휴로 하다가 2일도 되었다가 1999년부터 지금처럼 하루 공휴일로 변경되었습니다.
그리고 보면 "설날"이라고 명칭을 쓰게 된것은 얼마 안되었죠.
'생활의 발견 > 생활지혜'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9년 기해년 새해복 많이 받으세요. (0) | 2019.02.01 |
---|---|
예전부터 우리민족과 친숙한 도깨비 (0) | 2017.01.18 |
2017년 붉은 닭의 해 (0) | 2017.01.02 |
일출/일몰 명소 (0) | 2016.12.23 |
산타클로스가 누구예요 (0) | 2016.12.16 |
공유처럼 잘 생긴 도깨비가 있으면 얼마나 좋을까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도깨비의 모습은 머리에 뿔이 나있고
무섭기도하고 우스꽝스럽기도하고
비상한 재주로 사람을 홀리기도하고 짖궂은 장난으로 괴롭히기도 하고
또한 도움을 주는 신으로 알고 있습니다.
우리가 아는 전래동화에도 많이 나오는 캐릭터이죠.
『삼국유사』에서도 도깨비이야기가 나오는 것으로 봐서는 삼국시대부터
도깨비이야기가 있었다고 볼수 있겠죠.
도깨비가 되는 것으로는 자연물이 기이한 능력을 받아 되는 경우도 있고
사람들이 흔히 쓰던 예를들면 빗자루,부지깽이,짚신,절굿공이,체,키,솥,깨진 그릇등 사람의 손때가 묻은 것과 여성의 혈액(월경)이 묻었던 것이 된다고 합니다.
그래서 예전에는 사람이 오랫동안 쓰던 물건은 불에 태우는 풍습이 있었죠.
도깨비가 사는 곳으로는 들판,산길,계곡,절간,헌 집등 사람들의 왕래가 적은 곳이나 음침하고 그늘진 곳에 거처하고 주로 밤에 활동을 하죠.
도깨비의 특징은 도깨비와 관련된 전래동화를 보면 알 수 있듯이
심술궂은 장난을 매우 좋아하고,꾀가 없고 미련하다는 것,인간에게 잘 속아넘아가는 순진함,노래와 춤을 좋아하고 놀이를 좋아한다는 것입니다.
그래서 착하게 살아가는 사람에게는 복을 주는 신이고
나쁜 사람에게는 혼내주는 신이죠.
도깨비는 무섭고 초인간적인 능력을 가지고 있지만 조금은 모자란 듯한
인간과 가까운~~
도움과 재물을 가져다주는 친근한 존재
지금같은 시대에 정말 도깨비들이 나와서 힘들게 살아가는 우리들에게
도움을 주기를 바라며 글을 마칩니다.
'생활의 발견 > 생활지혜'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9년 기해년 새해복 많이 받으세요. (0) | 2019.02.01 |
---|---|
설의 변천사 (0) | 2017.01.24 |
2017년 붉은 닭의 해 (0) | 2017.01.02 |
일출/일몰 명소 (0) | 2016.12.23 |
산타클로스가 누구예요 (0) | 2016.12.16 |
신라24대 왕 진흥왕은 신라가 개국한 이래 최대의 영토를 가진 군주였습니다. 물론 통일신라 이전이지요.
역사시간에 진흥왕은 단약적성비와 창녕비(경남 창녕),북한산비(서울),황초령비(함남 함흥),마운령비(함남 함흥) 4개의 순수비를 세운 것으로 배운 기억이 있습니다.
지금 KBS월화드라마"화랑"에서 박형식이 맡고 있는 삼맥종이 진흥왕의 본명입니다.
그럼,진흥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진흥왕은 23대 법흥왕의 동생인 입종 갈문왕의 아들이며 어머니는 법흥왕의 딸인 김씨부인사이에서 태어났습니다.
신라왕족들도 혈족간의 혼인이 이루어졌습니다.
진흥왕의 왕비는 사도부인 박씨이며, 자녀로는 동륜과 사륜(진지왕)이 있습니다.
진흥왕은 큰아버지이자 외할아버지인 법흥왕이 후사없이 죽자 그 뒤를 이어 7세에 왕위에 올랐는데 나이가 어리다보니 왕태후(지소태후)가 섭정을 하였습니다.
왕태후는 진흥왕이 즉위하자마자 죄수를 사면하고 관리들의 벼슬을 한 등급씩 승진시켜주었습니다. 또한 왕권강화를 위해 이사부를 병부령(지금의 국방장관)으로 임명하여 국가의 모든 군사조직을 맡게 하였다.
이사부는 지증왕때 우산국(울릉도)점령한 장군으로써 진흥왕초기 왕태후를 도와 군사와 정치를 이끌었던 사람입니다.
또한 왕태후는 국가적 차원에서 지은 최초의 홍륜사를 짓고 불교를 장려를 했으며 삼국통일의 기틀이 되었던 화랑제도를 만들었습니다.
그러다 진흥왕이 18세가 되던 551년부터 친정(親政)을 하기 시작하였습니다.
이 혈기왕성한 진흥왕은 더이상 변방의 작은 나라로 지낼수 없다고 생각하여 본격적인 영토확장에 주력하였습니다.
그래서 551년 그당시 고구려가 대내외적으로 혼란한 틈을 타 백제의 성왕과 함께 고구려정벌에 나서 한강유역일대를 차지하게 됩니다.
그리고 사이좋게 나누어 가졌으나 2년뒤 김무력을 시켜 백제를 공격하여 백제와 나누어가졌던 것을 점령하여 신라가 완전히 한강유역일대를 차지하게 됩니다.
이로인해 100여년 이상 지속된 나제동맹은 깨지게 되었습니다.
남으로는 562년 이사부장군에게 대가야을 공격하게하여 가야를 점령하였고 고구려가 계속 내분으로 인해 혼란을 틈을 타 동해안을 따라 영흥만일대까지 차지하여 신라가 개국이후 최대의 영토를 가지게 되었습니다.
진흥왕은 568년 집권후반기부터는 자신이 개척한 영토를 직접 순수(중국의 황제인 천자가 천하를 돌아다니며 하늘과 땅을 다스리는 신에게 제사를 지내고 지방관들이 백성들을 잘 다스리고 있는지 살펴보던 중국의 풍습)하면서 백성을 위로하고 포상하였습니다.
그러면서 순수비를 세웠는데 지금 남아있는게 북한산순수비,황초령순수비,마운령 순수비등이 있습니다.
-북한산 순수비-
영토확장외에도 진흥왕은 음악에도 관심이 많았는데
가야출신 우륵을 발탁하여 음악발전에 기여하도록 하였고 대야찬 거칠부로 하여금 국사(國史)를 편찬토록 하였습니다.
그러다 마흔세살 되던해인 576년에 세상을 떠났습니다.
실제 진흥왕이 어떤 인물이었는가를 알고 KBS월화드라마"화랑"본다면
재미를 배가시키지 않을까요.
'생활의 발견 > TV드라마/영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홍길동은 실제 연산군시대에 폭정에 항거하였다. (0) | 2017.02.13 |
---|---|
조선시대 외과적 치료법으로 종기치료의 1인자가 된 백광현 (0) | 2017.02.01 |
추억의 만화영화 원탁의 기사 (0) | 2016.12.12 |
화랑이 돌아왔다. (0) | 2016.12.12 |
추억의 만화영화"태권동자 마루치 아라치" (0) | 2016.11.08 |
2017년은 정유년(丁酉年)
丁酉는 육십간지중에 34번째
정(丁)은 붉은 색을 말하는데 2017년은 붉은 닭의 해입니다.
닭(酉)는 12지의 10번째 동물로서
캄캄한 어둠속에서 떠오르는 해를 알리는 닭은 성서롭고 신통력을 가진 서조(瑞鳥)를 알려져 있습니다.
새벽을 알리는 우렁찬 닭의 울음소리
즉 한 시대의 시작을 상징하기도하며 이런 이유로 인해
닭이 주력(呪力)가지고 있다는 전통적 신앙도 생기게 되었습니다.
그래서 새벽을 알리는 빛의 도래를 예고하는 존재로써
새로운 시대를 예고한다고 보면 되겠죠.
`
닭은 5가지의 덕(德)을 지녔다고하는데
닭의 벼슬은 문(文),발톱은 무(武),적을 앞두고 용감히 싸우는 것은 용(勇),먹이를 보고 소리를 내 무리를 부르는 것은 인(仁), 때를 맞추어 새벽을 알리는 것은 신(信)을 뜻합니다.
닭띠는 자기주장이 강하고 꼼꼼하다는 애기도 있습니다.
2017년 붉은 닭의 해에 태어나는 아이들은 5가지의 덕을 지닌
아이들이니 좋겠죠.
2017년은 닭이 새벽을 알리는 즉 새로운 세상을 알리고 위대한 인물의 탄생을 알리는 한해가 되기를 기원합니다.
'생활의 발견 > 생활지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설의 변천사 (0) | 2017.01.24 |
---|---|
예전부터 우리민족과 친숙한 도깨비 (0) | 2017.01.18 |
일출/일몰 명소 (0) | 2016.12.23 |
산타클로스가 누구예요 (0) | 2016.12.16 |
금융감독원.KISA 사칭 파밍 해결방법 (0) | 2016.12.07 |
오늘 아침 갑작스러운 조지마이클 사망소식에 많이 놀라신 분들 많으시죠.
사인은 심부전이라고 하네요.
저도 팝송의 팝 자도 모르던 학창시절 팝송을 알게 해준 조지마이클
학창시절 좋은 노래로 위로가 되었던 조지마이클 안녕히 가세요.
조지마이클은 1963년 6월25일 영국 런던에서 태어났고
절친인 앤드류 리즐리와 함께 1981년 Wham을 결성하여
〈Wake Me Up Before You Go-Go〉, 〈Everything She Wants〉, 〈Freedom〉, 〈Careless Whisper〉,〈The Edge of Heaven〉,〈Last Christmas〉 등의 수 많은 히트곡으로 슈퍼스타가 되었고
특히 한국에서 지금까지도 〈Careless Whisper〉,〉,〈Last Christmas〉는 많은 분들의 사랑을 받고 있죠.
1987년엔 솔로 전향하여 〈Faith〉앨범을 발표하여
전 세계적으로 2천5백만장 이상 판매되었고 영국과 미극등에서
주요 상을 받았습니다.
음악적으로는 싱어송라이터로써 많은 영광을 누렸지만
개인적으로는 굴곡이 많은 생을 살았습니다.
최근까지 우울증,마약,커밍아웃 등으로 힘든 일을 겪었죠.
이제 하늘나라가 가서 마음껏 노래할 수 있기를 빕니다.
'생활의 발견 > 8090 음악'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영화보다 OST가 유명한 영화 - 더티댄싱 (0) | 2017.07.14 |
---|---|
1997 그때그가수 (0) | 2017.05.22 |
응답하라 88년 가요톱텐 (0) | 2015.12.28 |
스타의 산실 "mbc대학가요제" (0) | 2015.09.16 |
80년대 최고의 꽃미남 팝그룹 (0) | 2015.04.30 |
서울.경기.인천지역
민머루해수욕장: 인천 강화군 삼산면
동막해수욕장: 인천 강화군 화도면
탄도항: 경기 안산시 단원구
궁평리마을: 경기 화성시 서신면
마시안해변: 인천 중구 덕교동
영종도: 인천 중구 운서동
을왕리해수욕장: 인천 중구 을왕동
선유도공원: 서울 영등포구 양화동
하늘공원: 서울 마포구 상암동
아차산정상: 서울 광진구 광장동
강원지역
하조대: 강원 양양군 현북면
남애항: 강원 양양군 현남면
정동진: 강원 강릉시 강동면
추암해수욕장: 강원 동해시 북평동
태백산: 강원 태백시 소도동
경북지역
울릉도.독도: 경북 울릉군 울릉읍
부석사: 경북 영주시 부석면
삼사해상공원: 경북 영덕군 강구면
호미곶: 경북 포항시 남구
망양정: 경북 울진군 근남면
읍천항: 경북 경주시 양남면
혼신지: 경북 청도군 화양읍
충북.충남지역
왜목마을: 충남 당진시 석문면
꽃지해안공원: 충남 태안군 태안읍
도담삼봉: 충북 단양군 매포읍
간월암: 충남 서산시 부석면
마량포해돋이마을: 충남 서천군 서면
전북.전남지역
순천만: 전남 순천시 대대동
향일암: 전남 여수시 돌산읍
공소항: 전북 부안군 진서면
채석강: 전북 부안군 변산면
완도타워: 전남 완도군 완도읍
땅끝마을: 전남 해남군 송지면
세방낙조전망대: 전남 진도군 지산면
변산반도: 전북 부안군 변산면
남열해수욕장: 전남 고흥군 영남면
부산.경남지역
강양항: 울산 울주군 온산읍
죽성성당: 부산 기장군 기장읍
보리암: 경남 남해군 상주면
다대포: 부산 사하구 다대동
간절곶: 울산 울주군 서생면
지리산 천왕봉: 경남 산청군 시천면
제주지역
성산일출봉: 제주 서귀포시
'생활의 발견 > 생활지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예전부터 우리민족과 친숙한 도깨비 (0) | 2017.01.18 |
---|---|
2017년 붉은 닭의 해 (0) | 2017.01.02 |
산타클로스가 누구예요 (0) | 2016.12.16 |
금융감독원.KISA 사칭 파밍 해결방법 (0) | 2016.12.07 |
나를 편안하게 하는 생활의 지혜 -4- (0) | 2016.10.10 |